차량의 심장인 엔진오일 교환을 소홀히 하지 말자
자동차의 심장은 엔진이며, 이 심장이 튼튼하게 제 기능을 하게 하려면 무엇보다도 엔진오일이 효과적으로 작용해야 합니다. 만약 엔진오일의 교환을 소홀히 하였다면, 엔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됩니다. 그렇다면 엔진오일과 관련된 트러블은 무엇이며, 그때의 증상이 어떤지를 알게 된다면 엔진의 심각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엔진 오일은 윤활작용뿐만 아니라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고, 또 냉각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 냉각작용은 마치 냉각수처럼 엔진을 냉각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부품들은 아무래도 마찰로 인해 열이 많이 발생하여 변형되기 쉬우므로, 엔진오일이 이런 부품들에 공급되어 윤활작용도 하고 열도 식혀 주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엔진에서 동력이 발생한다는 것은 바로 엔진의 각 부품들이 계속해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력이 발생되고 또 전달되는 데에는 모두 금속으로 만들어진 부품들이 관여되어 있는데, 이들 금속 부품 사이에서 마찰을 줄여주는 윤활작용이 적절하지 않으면 엔진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습니다. 바로 이런 경우에 엔진오일의 윤활기능이 도움을 주어서 금속 부품들이 서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차량의 배기파이프를 통하여 하얀 연기가 배출되면 보통 엔진에서 엔진오일이 연소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엔진을 오래 사용하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틈새가 넓어졌거나 엔진의 연소실로 엔진 오일이 직접 유입되어 엔진오일이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되는 일이 발생합니다. 또는 엔진의 틈새를 통하여 엔진오일이 누출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면 나중에는 계기판에 있는 엔진오일압력게이지 표시등이 점등되는데, 오일펌프가 고장이 났거나, 엔진오일에 불순물이 많이 혼합되어서 오일점도가 낮아졌거나, 엔진오일의 양이 심각하게 부족하게 되어서 엔진오일의 압력이 낮을 때 점등되는 것입니다. 이 때는 지체하지 말고 정비소를 방문하여 원인을 제거해야 합니다.
엔진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엔진오일의 상태를 적절히 관리하려면 언제 교환할 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통 5,000km에서 10,000km 사이에서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것이 상식으로 통합니다만, 차량 운행 상황에 따라 적당히 가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먼지가 많은 비포장도로를 장시간 주행했을 때, 과적상태로 장시간 운행했을 때, 고속으로 장시간 운행했을 때,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운행했을 때, 그리고 추운 날씨에 자주 시동을 반복했을 때는 조금 일찍 엔진오일을 교환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엔진에 열이 많이 발생하였거나, 연료의 소모가 많았거나, 냉각수의 온도가 낮았거나 하는 등의 상황이 엔진오일의 성능 저하를 재촉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