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관보호를 위한 차량 커버 사용방법
차량이 도로를 주행할 때도 물론이지만, 단순히 도로 근처에 차량을 주차해놓기만 해도 차량 표면은 비산먼지 등에 의해 쉽게 오염이 됩니다. 이외에도 새의 배설물, 자외선, 산성비 등도 차량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그래서 자주 세차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차량 커버를 사용하는 것이 차량의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법이 됩니다.
차량 커버는 여러 가지의 효용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전자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은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잘못하면 차량 표면에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차량 커버는 양쪽에 날을 가진 칼과 같습니다. 차량 커버는 차량을 보호해줄 수 있는 것임과 동시에 차량에 흠집을 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용도에 맞지 않는 재질의 커버를 사용하거나, 부적절한 방식으로 사용된 차량 커버는 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더 큰 손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특히, 차량 외부에 흙 등이 많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 커버를 사용하면, 차량 커버의 내부에 흙 등이 묻게 되어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차량 커버를 입히고 걷을 때마다 차량 커버가 차량에 스크래치를 만들게 됩니다. 그러므로 차량 커버도 정기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며, 세척한 후에는 확실히 건조한 다음에 사용해야 합니다.
차량 커버는 재질에 따라 크게 방수형, 방수통기형, 그리고 비방수형으로 분류됩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재질의 커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 포인트입니다.
① 방수형: 방수형 커버의 재질은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코팅 섬유로 되어 있습니다. 외부에서 빗물이 투과하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커버 내부에 있는 습기도 밖으로 배출되지 않습니다. 차량 표면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커버를 덮어 놓으면, 커버 내부의 습기가 차량의 도장에 손상을 입히게 됩니다. 그러므로 표면에 물기가 있는 경우에는 커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유리합니다. 대신에 차량을 말끔하게 건조시킨 후에 장기간 보관할 경우에는 습기 침입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② 방수통기형: 방수통기형의 재질은 통기성 섬유라서 커버가 대체로 가볍습니다. 통기성 재질에 의해 습기의 배출 특성이 있으므로 수분의 응집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볍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유동이 심한 편입니다. 바람에 의해서 많이 유동하면 차량의 겉 표면에 스크래치를 만들 수도 있으므로 고정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③ 비방수형: 비방수형은 100% 면이나 면/폴리에스테르 혼합의 재질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습니다. 면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이기 때문에 차량 표면의 스크래치 발생을 최대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리한 점은 습기의 침투를 막을 수 없고 또 외부에서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옥내 주차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