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뜨면 새로운 정보가 넘쳐나는 IT시대인 요즘은 소프트(soft)한 경제적 가치, 즉 브랜드(brand)가 자산으로 인정되는 시대이다. 이는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해당되는 것으로 꾸준한 자기계발에 힘쓰면 높은 부가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라고 볼 수 있다.
 
■ 이미지 관리에 신경쓰자 

개인 브랜드 시대에는 그에 맞는 ‘개인 이미지 관리’가 필요하다. 면접상황에서는 첫인상이 좋아야하겠지만 전문화 시대에는 남들과는 다르게 구별되는 이미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즉, 남과는 다르게 자신을 전달하여야만 성공입지를 구축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해박한 전문지식을 보유하고 그에 맞는 많은 경력을 쌓았더라도 그러한 자신의 능력을 돋보이게 하는 이미지가 없다면 소용이 없을 것이다. 치열한 경쟁에서는 자신을 차별화되게 이미지화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가치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자신의 이미지를 재발견하고 보다 더 어울리게 보이고자 전문상담소를 찾아 이미지 트레이닝을 받는 일반인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자신을 대표할 수 있는 트레이드마크는 무엇인지 짚어보고, 주위 사람들에게 자문부터 구해보자.

■ 인간관계는 또다른 자산이다 

프로젝트가 주어졌을 때 개인 혼자는 잘 하는데 여러 명이 어울릴 때는 힘들다면 바로 인적 네트워크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흔히, 직장 내에서는 상사나 동료와 트러블이 있는 경우가 그런 예가 될 것이며 여기에는 본인의 태도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원활한 업무를 위해서도 좋은 대인관계를 형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것은 무엇보다 상대방이 누구냐에 따라 그 사람에 맞는 의사소통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상대방이 그 당시 처한 상황을 고려해보아 그의 입장에서 대화를 시도하며, 격한 감정이 일어날 때는 잠시 호흡을 가다듬어 한 템포 늦게 대응을 하는 것이 현명하다.  그렇다고 잘못된 결과가 있더라도 묵묵히 참으라는 것이 아니라
 
 
공과 사에 대한 표현을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하여 올바르게 처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로가 입장을 바꾸어 생각해 보거나 때로는 본심을 털어놓고 대화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객관적인 거리는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이 서로에게 더 좋은 경쟁자가 될 것이다. 

이렇듯 인간관계의 기본은 진심이 담긴 그 사람의 마음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 수가 있다. 더 나아가 어제의 적이었던 경쟁자가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본받을만한 벤치마킹의 성공모델이 될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할 것이다.

■ 좋아하는 일에 전문가가 되자 

대다수 직장인들의 경우 직업과 평소 취미가 다른 경우가 많다. 직업은 생계수단이며 평소 즐기는 여가활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즐거운 시간인 것이다. 즉, 취미생활은 평소 직장활동의 스트레스, 낮은 성취욕 등을 대신 풀어내는 자아성취의 대타인 셈이다.

예전에 비해 지금은 한 가지 분야라도 제대로 끝까지 파고드는 ‘전문가’가 인정받는 시대가 되었다. 만약 지금 본인이 현재의 직업에 한계를 느끼는 경우라면 오히려 자신이 좋아하고 즐기는 것을 찾아 ‘전문성’이 있는 일로 만들어보면 어떨까? 단지 좋아하는 것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여기에 풍부한 전문지식도 함께 쌓는 노력과 열성이 뒤따라야함은 물론이다.

기업 안에서는 좋아하는 일에 전문지식을 겸비한 핵심인재로 인정받을 것이며, 나중에는 소망하는 창업으로 이어질 수도 있게 될 것이다.
   

BLOG main image
건강한 삶, 즐거운 삶, 여유로운 삶을 꿈꾸는 가치노을의 세상이야기 by 가치노을

공지사항

카테고리

가치노을 (504)
孝이야기 (3)
세상이야기 (257)
일상다반사 (98)
아침을 여는 좋은글 (46)
여행이야기 (15)
자동차이야기 (85)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