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이 많이 떨어져서 도로가 결빙되는 계절이 되었습니다. 특히, 도로 위에 얇게 얼음이 덮여 있으면, 차량이 운전자의 생각과는 다르게 움직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런 도로조건이 얼마나 위협이 되는지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보기 전까지는 짐작도 할 수 없습니다. ‘겨울’이라는 용어를 들으면 운전자는 자연스럽게 ‘천천히’를 생각해야 합니다.
겨울철에 운전할 때는 도로 표면의 상태를 예상해야 하는데, 기온이 쉽게 변동하는 곳에서는 도로 표면의 상태가 갑자기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터널 내부와 외부는 온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또, 도로 밑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인 다리나 고가도로는 기온에 따라서 도로상태가 급변하므로 주행할 때 미리 차량의 속도를 낮추고 대비하는 운전자세가 필요합니다.
■ 겨울철 도로에 맞는 운전요령이 필요
젖어 있거나 얇게 얼음이 덮인 도로에서는 차량의 속도를 줄일 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전에 엔진브레이크를 먼저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한다는 것은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변속기의 변속기어단을 한 단계 낮추어서 엔진의 회전수를 올리는 조작방법을 말합니다. 수동변속기 차량에서는 변속기어를 1단 낮추고, 자동변속기 차량은 S나 L로 변경하든지, Hold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또, 빙판길과 같이 미끄러운 도로에서는 너무 큰 구동력이 갑자기 바퀴에 전달되면 바퀴가 헛돌 가능성이 커집니다. 바퀴가 헛돌게 되면 더욱 도로가 미끄러워지므로 출발조차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빙판길에서는 바퀴에 구동력이 서서히 가해지도록 출발해야 하며, 이런 경우에는 2단으로 출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추위의 불청객, 정전기를 방지하려면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차에 오르내릴 때 정전기 때문에 움찔거린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별로 유쾌한 경험은 아닙니다. 정전기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사람의 몸에서 발생합니다.
습도가 높을 때에는 수증기가 정전기를 방전시켜 정전기 쇼크가 일어나지 않지만, 겨울철과 같이 습도가 낮아 건조하면 정전기가 쉽게 방전되지 않습니다. 의류의 마찰 등에 의해 전기를 띄게 된 신체가 차량의 금속부분에 접촉하게 되면, 순식간에 전기가 방전되어 정전기쇼크가 발생합니다.
평소 정전기방지용 시트나 시트커버를 사용하면, 신체에 발생된 정전기가 방전되어 정전기쇼크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차량에서 내릴 때에 정전기쇼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트에서 등을 떼기 전에 금속부분에 손을 접촉시키면 효과가 있습니다. 차량에 탈 때에 손을 펴서 한 번에 차체에 닿게 하면 정전기쇼크가 작아집니다. 또, 동전이나 차량의 키 등으로 정전기를 흘려보낸 다음에 차문을 여는 것도 좋습니다.
'자동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자나 차량이 겨울을 현명하게 나기 위한 방법은? (0) | 2008.11.24 |
---|---|
1년 동안 건강한 차량을 위해 고장의 원인부품을 확인하라 (0) | 2008.11.21 |
겨울철 장시간 주행시 주의해야할점은??? (0) | 2008.11.20 |
대리운전의 피해를 예방할려면? (0) | 2008.11.19 |
겨울철 차량 고장 유형 (0) | 2008.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