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점검에서 간단한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아서 돌이킬 수 없는 사고 피해를 입는 경우를 드물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정지 상태에 있는 자동차라고 하더라도 자동차의 엔진은 회전하고 있고, 또 엔진의 온도가 높은 관계로, 자동차의 여기저기를 점검하는 작업을 하는 중에는 지속적으로 안전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 왜 안전수칙이 중요한가요?
운전 중에 갑자기 엔진의 시동이나 헤드라이트가 꺼지는 사고 등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당황하게 되어 알고 있던 자동차상식조차 기억이 잘 나지 않게 됩니다.
이런 경우, 초보운전자라고 할지라도 한번쯤은 자동차에서 내려서 자동차의 후드(본네트)를 열고 엔진룸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이렇게 단순하게 엔진룸을 들여다보거나, 여기저기를 아무런 의미 없이 만지작거리더라도 안전측면에서는 조심할 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엔진에 있는 벨트들은 매우 위험하며, 냉각수나 오일에 의해서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엔진 주위를 점검할 때에는 조심해야 합니다.
직접 수리나 교환 작업을 할 때에 효과적으로 작업 시간을 관리하고 또 안전한 작업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작업을 끝마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설명서를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도로 주행 중에 일어난 상황이라면 다른 차량들의 정체를 최소화하고 돌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합니다.
■ 자동차의 관리 및 점검에서 지켜야 할 안전 수칙
① 화기는 멀리 하세요
연료탱크나 연료파이프의 이음새에서 누출되는 가솔린증기나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수소가스는 폭발성 기체입니다. 따라서 항상 가까운 거리에 소화기를 비치하고, 본네트를 열 때 화기는 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점검이나 수리를 목적으로 차량의 여기저기를 열어놓으면, 가연성물질들이 휘발하여 그 증기가 담뱃불에 인화될 수 있으므로 담뱃불을 가까이 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일입니다.
② 밀폐된 장소는 피하세요
자동차의 배출가스에는 유해한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는 일산화탄소입니다. 영화에서 살인을 하거나 자살하는 방법으로 배기가스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장면을 가끔 볼 수 있는데, 이런 장면이 가능한 것이 바로 일산화탄소 때문입니다. 밀폐된 장소에서 환기도 제대로 되지 않으면, 산소부족으로 인해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③ 배터리액을 조심하세요
배터리에 들어 있는 액체는 황산입니다. 그러므로 배터리를 만질 때는 항상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배터리에서는 소량의 수소가스가 방출되므로 담뱃불과 같은 화기를 가까이에 하면 안 됩니다.
④ 배터리 접속은 끊어 놓고 하세요
집안에서 전기 배선을 만질 때는 차단기로 전기 공급을 차단하고 작업하듯이, 차량에서 전기 배선 작업을 할 경우에는 배터리의 (-)연결을 해체하고 작업을 해야 합니다. 만약 배터리의 접속을 연결한 상태로 전기 결선 등의 작업을 하게 되면 전기 불꽃이 발생하여 폭발이 일어나거나 전기회선의 잘못된 결선으로 인해 부품이 망가지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⑤ 뜨거운 냉각수 주의하세요
엔진의 시동을 끄자마자 라디에이터 호스나 냉각수 파이프를 만지면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엔진이 운전되고 있는 중에 라디에이터 캡을 열어도 분출되는 뜨거운 냉각수에 의해 화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⑥ 배기관이나 머플러는 매우 뜨겁습니다
배기관이나 머플러는 엔진이 작동하는 중에 뜨거운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통로이므로 엔진의 시동을 껐다고 하더라도 한동안은 여전히 뜨거운 상태입니다. 따라서 맨 손으로 이것들을 만지게 되면 화상을 입게 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⑦ 오일 등은 흘리지 마세요
작업하는 장소에 오일을 흘려놓으면, 그 오일 때문에 전혀 관계없이 지나가는 사람들도 미끄러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일 어쩔 수 없이 오일을 흘렸다면 곧바로 닦아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⑧ 잭의 사용은 안전한 곳에서 하세요
운전자가 직접 타이어를 교환할 때 일반적으로 잭(Jack)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대형 차량들이 많이 통행하는 도로 옆에서 잭을 사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릴 때는 통행하는 대형 차량들이 발생시키는 바람이나 진동에 의해서 잭이 넘어질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⑨ 옷이나 신발 등 복장에 주의하세요
옷소매, 장갑 등에서 길게 삐쳐 나온 실이나 넥타이가 엔진의 회전 부분에 말려 들어갈 수 있습니다. 여성운전자들의 경우에는 팔찌, 목걸이 등이 엔진에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또, 금속제 액세서리는 차량 표면에 흠집을 낼 수도 있습니다. 한편, 자동차의 점검 또는 간단한 수리를 하다보면 공구들을 떨어뜨릴 수도 있는데 이때 발등이나 발가락 부위를 다칠 수 있습니다. 신발의 재질이 부드러운 것을 착용하고 있으면 상해를 입을 수도 있으므로 딱딱한 재질의 것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⑩ 자신이 없으면 전문 업체에 의뢰하세요
평소 차량 점검의 안전수칙을 지키더라도 부품의 해체방법을 알지 못해서 무리하게 작업을 하게 되면 오일이 튀어서 살갗에 닿거나 눈에 들어가는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또, 무리한 충격을 가해서 부품이 파손되다보면 그 조각이 튀어 나갈 수도 있습니다. 이렇듯 무리한 작업은 위험을 불러오니 전문지식이 없다면 차량 정비전문 업체에 맡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자동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자동차 고르기 (0) | 2008.10.10 |
---|---|
연료 절약을 위한 행동 수칙 (1) | 2008.10.08 |
정체도로를 운행하면 차량부담과 비용이 발생한다. (0) | 2008.10.08 |
차량개조로 손해를 보는 경우 (0) | 2008.10.07 |
타이밍벨트의 기능과 교환주기 (0) | 2008.09.26 |